23년 새해 들어서 한국증권거래소에서 몇 가지 제도를 변경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이에 따라 23년 1월 25일에 시행되는 한국증권거래소 제도 개편 사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제도가 개편되었나?
[호가가격단위 (Tick Size) 변경]
주식(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K-OTC, K-OTCBB) 및 주식선물 호가가격 단위가 변경되었습니다.
호가가격단위 변경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격대 | 단위 |
~2천원 | 1원 |
2천원~5천원 | 5원 |
5천원~2만원 | 10원 |
2만원~5만원 | 50원 |
5만원~20만원 | 100원 |
20만원~50만원 | 500원 |
50만원~ | 1000원 |
파생상품 중 ETF, ETN, ELW 상품은 현행 호가가격단위(5원)가 유지됩니다.
[증권시장 동시호가 변경]
동시호가 수량배분 단계 축소 : 6단계 → 3단계
변경 전
- 매매수량단위의 100배
- 매매수량단위의 500배
- 매매수량단위의 1000배
- 매매수량단위의 2000배
- 잔량의 2분의 1(매매수량단위 미만의 수량은 매매수량단위로 4사 5입)
- 잔량
변경 후
- 매매수량단위의 100배
- 잔량의 2분의 1(매매수량단위 미만의 수량은 매매수량단위로 4사 5입)
- 잔량
파생상품시장은 형행 9단계 수량배분 유지
위탁자매매 우선원칙 폐지, 단 증권상품시장은 현행대로 유지됩니다.
[증권, 파생상품시장 단일가 매매 연장 폐지]
변경 전
단일가매매 종료 시 체결 가능한 호가가 없는 경우 최초 가격이 결정될 때까지 단일가매매(시가, 장중) 연장
변경 후
기존 폐지, 시가등 미결정시 단일가매매가 최초 가격 결정 시까지 연장되지 않고 접속매매로 전환됩니다.
[파생상품 ISIN 표준코드체계 변경]
파생상품 종목코드 체계 중 종류코드 영역에 알파벳을 사용하여 이전 상장 종목 간 중복 방지되었습니다.
예시) 선물 : A, 콜옵션 : B, 풋옵션 : C, 선물스프레드 : D
KOSPI200 선물 종목코드 중복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종목만기 | 종목코드 구성 | ||||
종류 | 거래대상물 | 만기년 | 만기물 | 종목코드 | ||
변경전 | 1996년12월 | 1 | 01 | 6 | C | 1016C |
2026년12월 | 1 | 01 | 6 | C | 1016C | |
변경후 | 2026년12월 | A | 01 | 6 | C | A016C |
[지수분류코드체계 변경]
기존코드 3자리(001 종합주가지수 등)에서 한국거래소에서 제공하는 지수분류코드 6자리(KGG01 P 코스피 등)로 변경되었습니다. 기존 코드 3자리로도 조회는 가능합니다.
이번에 개편된 내용 중에서 투자자 분들에게 직접적으로 크게 해당되는 부분은 호가단위 변경일 것입니다. 초단타, 단타 위주의 투자자분들은 거래세와 수수료로 인해 호가 단위에 따라 수익을 내야 되는 틱이 변경되어서 적응이 필요하실 겁니다.
단일가매매 연장폐지에 따라 시가매매, 변동성완화장치(VI) 매매하시는 분들은 종료시간 +∝(추가시간)이 없어졌으니 매매 타이밍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무리하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2023.01.20 - [분류 전체 보기] - 주식투자 종목 ETN과 ETF 뜻과 간단한 투자 방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