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식투자시 최고점 돌파에 대해 개념 잡기

by 일단 노력천재 2023. 2. 2.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 투자 시 많이 나오는 내용 중 최고점 돌파시 매매하는 것이 어떤 경우에 위험하고 어떤 경우 진입을 해야 되는지에 대한 기본 개념과 최고점 돌파 시의 위험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투자자들은 왜 최고점 돌파를 좋아하는가?

 

우리가 주식을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매체, 유튜브, TV 증권방송을 이용하거나 투자를 위해 출판된 책 등을 이용하여 주식투자 공부를 하게 됩니다.

 

우리가 접하는 이런 다양한 매체들에서 많이 다루는 투자 기법 중 하나가 최고점 돌파가 되겠습니다. 하지만 여러분이 최고점에서 매매를 하셨을 경우 대부분은 수익을 못 내고 항상 최고점에서 손실을 보시는 경험을 주로 하시게 됩니다.

 

보통 차트 상으로 최고점 돌파 되는 차트 형태를 보시면 우리가 좋아하는 깔끔한 상승 형태가 많이 나옵니다. 차트만 딱 보면 누구나 꿈에 그리고 좋아할 볼만한 차트 형태입니다. 여기에 우리는 투자 공부를 하면서 고점 돌파라는 기법을 배우고 그래프는 마침 깨끗한 우상향 그래프에 우리가 항상 바라는 형태로 그려지고 있는 상태가 최고점이 되겠습니다

 

대부분의 우리가 공부하는 내용에는 대부분 항상 최고점 돌파 시 매수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최고점 돌파 시 매수를 하면 당일이나 다음날 바로 하락하거나 하루 이틀 상승 추세를 보이다 하락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러한 최고점 돌파로 수익을 내는 경우는 대부분 열에 하나의 확률입니다.

 

더 안 좋은 경우는 최고점 돌파 후 우리가 매수한 지점이 그 종목의 가장 최고점이 되었을 경우 다시 반등 없이 그대로 주가가 지속 하락하게 되는 경 우입니다. 위에 내용 같이 최악의 안 좋은 상황을 피해 가려면 당연히 최고점이 어딘지 파악하고 역대 최고점 자리에서 매수를 피하는 방법이 제일 좋겠지요.

 

아래에 제시된 분석은 개인적인 관점에서 분석방법입니다. 어떤 경우라도 100% 이러한 사태를 피할 수는 없습니다. 확률적으로 어느 정도 잡아낼 수 있을 뿐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최악의 경우를 피하기 위해 확률적으로 최고점을 피하는 방법에 대해서 예시로 몇 종목을 분석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점 돌파 예시 종목

 

고점 돌파 예시 기준은 21년 1월 11일 코스피 지수 고가 기준 3266.23을 기준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삼성전자 분석]


삼성전자의 21년 1월 11일 최고가는 96,800원입니다. 삼성전자 주가가 액면 분할 후 가장 높은 가격의 최고점입니다. 코스피 지수와 삼성전자가 최고점을 형성한 일자가 동일합니다.

 

이때 삼성전자 주가가 최고점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기준은 21년 1월 11일 즈음에 증시 뉴스, 각종 언론 매체 등에서 항상 코스피 상승에 대해서 얘기를 하고 있었고 지수 40,000선을 바라보는 뉴스도 한창 나오던 시기였습니다. 지수가 이미 많이 올라 최고점 부근임에도 불구하고 뉴스 나 언론 매체에서 낙관론이 계속 나온다는 것은 이제 곧 지수가 하락 반동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셔야 됩니다. 항상 뉴스 나 언론 매체의 전문가들은 항상 정반대로 뉴스를 흘립니다.

 

이때 코스피 지수 3266.2점은 코로나 사태로 인해 최저 지수 1439.43 대비 126.9%가 상승한 지점이었습니다. 이 시점의 코스피 지수는 코스피 역사상 최고점이었고 삼성전자 역시 같은 패턴으로 상승하였기 때문에 최고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003년 1월 11일 이 시점에서 최고점에 확신이 없으셨다면 그다음 최고점 돌파 기간인 21년 6월 25일 코스피 지수는 전 최고점을 돌파한 지수 3316.08이었습니다. 이처럼 느리게 움직이는 지표들은 역대 최고점이 형성되면 다시 한번 그 지점을 확인하려는 패턴이 평균적으로 발생합니다. 만약 이 두 번째 최고점 돌파 기간이 정상적인 돌파구간이라면 삼성전자 주가 역시도 23년 1월 11일 최고가 96,800원을 돌파한 주가가 형성되어야 정상입니다. 하지만 이 두 번째 기간에 삼성전자 주가는 전 최고점보다 낮은 고가 기준 81,900원이었습니다. 최고점 대비 -15.39%가 하락한 수치입니다.

 

이렇듯 첫 번째 최고점에서 확신을 가질 수 없다면 두 번째 고점 돌파가 되거나 아니면 전 최고점에 근접했을 경우 매수하시는 개별 종목 주가가 얼마나 그런 흐름을 따라가는지 확인해 보시고 충분히 코스피지수 패턴과 일치한다면 최고점 돌파 시 매매를 하거나 아니면 다음파동에서 가격이 한 번 눌릴 때 매매를 하는 것을 결정을 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현대차 분석]

 

현대차의 21년 1월 11일 최고가는 289,000원이었습니다. 코로나19 사태 최저점 65,000원 대비 344%의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현대차 역시 두 번째 지수 고점 부근인 23년 6월 25일 부근에 최고점은 249,000원이었습니다. 전 최고점 대비 -13.84% 하락하였습니다. 현대차 주가 역시 코스피 지수에 비해 두 번째 최고점 부근에서 주가가 상승 탄력을 받지 못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첫 번째 최고점에서 매수를 하는 것보다는 두 그다음 파동에서 매수하는 종목의 주가가 지수 최고점을 얼마나 따라가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포스코 홀딩스 분석]

 

포스코 홀딩스에 21년 1월 11일 부근에 최고점은 295,000원이었습니다. 코로나 19 사태의 최저점 133.000원에서의 상승률은 122%였습니다.

 

상승률은 삼성전자와 비슷한 폭으로 상승하였지만 포스코 홀딩스의 역대 최고가인 400,000원은 돌파하지 못한 주가였습니다. 이때는  포스코 홀딩스 주가가 충분히 상승하지 못하였다고 가정을 하고 다음 파동에 에서 매수 접근을 할 수 있습니다. 포스코 홀딩스 주가는 이후 다시 반등을 하여 역대 최고가인 400,000원을 돌파하고 역대 최고가를 경신하여 413,500원에 주가를 형성하였습니다. 주가 최종 상승폭은 코스피 19 사태의 최저점 대비 210.9% 상승했습니다.

 

항상 모든 매매원칙에는 본인만의 논리적인 근거를 만들어서 "아 이렇것이다.."라는 감이 아닌 매수하였야 하고 매수 원칙이 안 맞을 경우에 대비한 매도 원칙 또한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최고점 분석을 위한 추가 사항

 

삼성전자의 일간 거래대금은 현재 1조 원에서 2조 원 사이입니다. 코스피 지수에 일간 거래대금은 대략 8조 원 에서 9조 원 사이입니다. 삼성전자 한 종목이 코스피 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대략 15%~20% 가까이 됩니다.

 

이런 수치를 기준으로 보면 코스피와 삼성전자 주가가 어느 정도 일치해서 움직이는지 아니면 지수와 삼성전자 주가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는지를 확인해 보시면 지금 현재 지수가 최고점 부분인지 아니면 최고점에서 다시 반등을 하는지 하락을 하는지 어느 정도 윤곽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모든 투자기법은 한번 본다고 이해할 수 없습니다. 계속 반복 숙지가 필요한 작업입니다.

 

최고점에 매매는 굉장히 위험한 투자 포지션 중 하나입니다. 남들이 다 보기 좋은 차트 형태인 최고점을 선호하시기보다는 저점 부근을 공략하도록 매매 원칙을 만드시는 게 좋을 듯싶네요. 항상 마음에 드는 차트는 여러분에게 손실을 강요하는 차트라는 것을 생각해 주시기 바랍니다.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2023.01.27 - [분류 전체보기] - 주식 선물 거래 하는 방법 및 소개

 

주식 선물 거래 하는 방법 및 소개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 시장 선물이란 무엇이며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지수 선물은 어떤 지수와 연관이 있는지 지수 선물에 대한 소개와 주식 선물에 대한 거래 방법 등을 알아보도록 하

aronysy.tistory.com

2023.01.09 - [분류 전체보기] - 신풍제약 주가 폭락에 대한 분석 및 향후 전망은 어떨까?

 

신풍제약 주가 폭락에 대한 분석 및 향후 전망은 어떨까?

17~18년을 뜨겁게 달궜던 바이오주 신라젠에 이어 22년 바이오주로 뜨겁게 시장을 달궜던 신풍제약의 폭락한 주가에 대한 분석과 이 주식을 이제라도 매수해야 하는지 아니면 기존 주식보유자들

aronysy.tistory.com

 

반응형

댓글